디지털동작문화대전 > 동작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민속) > 생활 > 주생활
-
서울특별시 동작구의 주거 형태나 생활에 관한 개관. 서울특별시 동작구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주택의 형태가 등장하였다가 소멸한 지역이다. 조선 시대에는 동작구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가옥의 규모나 수준은 달랐지만 초가집 또는 기와집과 같은 한옥에 살았다. 일제 강점기에는 대부분의 조선인은 한옥이나 개량한옥, 토담에 엉성한 지붕을 올린 움막 형태의 토막(土幕) 등...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6·25전쟁 미망인과 그 자녀를 수용·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던 집합주택. 1950년대에 6·25전쟁으로 인하여 남편을 잃은 소위 ‘전재미망인(戰災未亡人)’은 전국적으로 최소 3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저학력 또는 문맹자였고 생계를 유지할 만한 기술이나 사회경험이 없어 부양해야 할 자녀와 함께 매우 빈곤하게 생활하였다. 이에...
-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1960~1970년대 루핑으로 지붕을 덮어 지은 주택. 루핑집은 ‘루핑’ 또는 ‘루핑 유지(油紙)’라고 하는 검은 색의 두꺼운 기름종이로 지붕을 덮은 가옥을 말한다. 루핑은 1950년대에도 판잣집 지붕을 덮는 데 합판, 레이션 상자, 깡통 생철, 판대기, 천막천, 가마니 등과 함께 쓰였던 재료이다. 하지만 루핑이 한국에서 크게 유행했던 시기...
-
일제 강점기에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던 주택단지. ‘명수대(明水臺)’는 맑은 한강 물이 유유히 흐르는 경치가 좋은 곳이라 하여 일본인 기노시타 사카에[목하영(木下榮)][1887~?]가 붙인 이름이다. 기노시타 사카에는 조선에서 제일 큰 규모의 모범 문화촌 건설을 꿈꾸었고, 한강신사를 세운 시키 신타로[志岐信太郞][1869~?] 등과 함께 명수대주택지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분...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는 상가아파트.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는 명수대아파트는 건축면적 1,949.95㎡, 연면적 9,313.42㎡의 지하 1층, 지상 5층 건물이다. 건물의 저층부인 1, 2층에는 상가 및 사무실이 있고, 고층부인 3층~5층은 주거시설이 배치된 상가아파트이다. 상가아파트는 서울에서 1960년대 후반 등장하여 1970년대까지 주로...
-
1963년 서울특별시가 동작구 상도동 356번지 일대에 조성한 단층의 단독주택.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356번지 일대는 해발 56.8m 높이의 작은 구릉지에 100호의 시영주택이 단지를 이루고 있던 곳이다. 1963년 서울시가 인구 급증으로 인해 주택난이 극심해지자 이를 완화하기 위해 직접 지어 분양한 공영주택이다. 서울특별시 주택비 특별회계 설치 조례가 1957년...
-
일제 강점기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 조성된 주택단지. 상도동 영단주택(營團住宅)은 1941년 설립된 조선주택영단이 동작구 상도동 일대에 건설하였던 단지형 집단주택을 말한다. 영단주택은 조선주택영단이 주거지 계획에 따라 부지를 조성하고, 대규모 단지로 건설한 일정한 형태의 주택이다. 1930년대 후반, 조선총독부는 나날이 심각해지는 주택부족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194...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흑석동, 노량진동에 있었던 주거 임대 형태. 하숙집은 가정집 등에서 대학생, 수험생, 직장인 등을 상대로 비교적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방과 끼니를 제공하고 매달 돈을 받는 임대 형태 또는 그 장소를 의미한다. 하숙집은 자취(自炊)와 함께 지방 출신 대학생에게는 가장 오래된 거주 형태였기에, 매년 입학과 개학을 앞둔 1,...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던 개량한옥.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서울을 비롯한 도시 지역에는 흔히 ‘개량한옥(改良韓屋)’이라 불리던 도시형 한옥이 들어섰다. 주택개발업자들이 개발하여 대량으로 공급하였던 개량한옥은 기존의 전통한옥을 도시 생활에 맞게 변형한 주택으로서 ‘집장수 집’이라고도 불렸다. 이러한 도시형 한옥이 동작구 흑석동 일대...
누정
-
서울특별시 동작구 본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정조가 세운 행궁이자 누정. 용양봉저정은 조선의 제22대 국왕 정조가 생부인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원(陵園)이었던 현륭원(顯隆園)에 가는 원행 길에 한강을 건넌 이후 잠시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1791년(정조 15) 행궁(行宮)의 용도로 건립하였다. 용양봉저정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32길 14-7[본동...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었던 조선 전기 정자. 월파정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에 위치한 노량진수산물시장 내에 건립되었던 조선 전기의 정자이다. ‘월파정(月坡亭)’이라는 명칭은 달빛이 부서지는 물결을 바라보는 곳을 의미한다. 조선 시대 문인들이 시를 읊는 공간이었으며,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월파정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15번지에...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노한이 건립한 정자. 효사정은 조선 전기 문신인 노한(盧閈)[1376~1443]이 돌아가신 어머니의 시묘살이를 위하여 지은 정자이다. 시묘살이 이후에는 어머니를 그리워하고, 개성에 묘가 있는 아버지를 추모하는 공간이었다고 전해진다. ‘효사정’이라는 명칭은 강석덕(姜碩德)[1395~1459]이 지었으며, 아들 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