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200610 |
---|---|
한자 | 鄭麟趾 |
영어공식명칭 | Jeong Inji |
이칭/별칭 | 백저(伯雎),학역재(學易齋),문성(文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우진 |
서울특별시 동작구 지역의 효사정에 관한 시를 남긴 조선 전기 문신.
정인지(鄭麟趾)[1396~1478]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한글의 창제 과정에 관여하였으며, 영의정 노한(盧閈)이 노량 나루터 부근에 복상(服喪) 후 축조한 효사정(孝思亭)에 관한 시문을 남겼다.
정인지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자는 백저(伯雎), 호는 학역재(學易齋),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증조부인 정익(鄭翊)과 조부 정을귀(鄭乙貴)의 관직은 확인되지 않는다. 아버지는 석성현감(石城縣監) 증영의정부사(贈領議政府事) 정흥인(鄭興仁)이며, 어머니는 흥덕 진씨(興德陳氏)로 중랑장(中郎將) 진천의(陳千義)의 딸이다.
태종이 직접 주재한 1414년(태종 14)의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세종 대 집현전학사로 『훈민정음(訓民正音)』과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등의 창제에 참여하였다.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의 한강변 남쪽 언덕에는 세종 대 우의정에 오른 노한이 세운 효사정이란 정자가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10권의 경기 금천현(衿川縣)[현재의 동작구]에 정인지가 효사정에 대해 읊은 시구가 다음과 같이 전한다.
“사정(思亭)이 높이 큰 강 위에 임했는데[思亭高杭大江頭], 효성스러운 아들 착한 손자 갖추어 아름답네[孝子慈孫自匹休]. 세덕(世德)은 이미 산같이 무겁고[世德已知山共重], 가성(家聲)은 길이 물과 함께 흐르네[家聲長與水同流]. 봄바람이 살랑거리는데 개오동나무 늙었고[春風搖漾松楸老], 가을날이 쌀쌀하니 골짜기가 그윽하다[秋日凄淸洞壑谷]. 굽어 보고 쳐다보는 정회를 누가 알아 주리[俯仰情懷誰識得]. 때때로 북궐(北闕)을 보니 서기(瑞氣) 띤 연기가 떴네[時看北門關瑞煙浮].”
노한이 모친을 위해 3년간 시묘(侍墓)한 부근에 세운 효사정은 정인지의 이 시문과 강희맹(姜希孟)의 「효사정기(孝思亭記)」 등을 통해 조선 시대 효도의 상징물 중 하나가 될 수 있었다.
『훈민정음』과 『용비어천가』 등 한글 창제 및 관련 서적 편찬, 한글의 보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1431년(세종 13) 조선 고유의 역(曆)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442년(세종 24)에는 『사륜오집(絲綸要集)』, 1445년(세종 27)에는 『치평요람(治平要覽)』의 찬수(纂修)에 관여하였다. 사서(史書) 분야에서는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태조실록(太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의 편찬, 개찬, 증수(增修) 및 감수에 참여하였다. 개인 문집으로는 『학역재집(學易齋集)』이 있다.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에 묘소가 있으며 묘비에는 강희맹의 글자를 새겼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되었다.
1453년(단종 1) 정난공신(靖難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에 봉작되었다. 1466년(세조 12)에는 하동군(河東君)으로 작위가 개칭되었다. 1478년(성종 9) 사망 후 문성(文成)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