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200213 |
---|---|
한자 | -路 |
영어공식명칭 | Jangseungbaegi-r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상도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수정 |
준공 시기/일시 | 1972년 11월 26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4년 9월 13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1년![]() |
전구간 | 장승배기로 - 서울특별시 동작구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장승배기로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상도동![]() |
성격 | 도로 |
길이 | 1.7㎞ |
차선 | 왕복 4차선 |
폭 | 20m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삼거리에서 신상도초교교차로에 이르는 도로.
장승배기로는 상도동과 노량진동의 경계였던 고개에 장승이 있었으므로 고개를 장승배기 고개라고 하고, 마을을 장승배기라고 한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장승배기는 조선 후기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顯隆園)으로 전배(展拜)하러 가던 중 쉬어가던 곳이었다. 정조는 행차의 길목인 장승배기에 이정(里程) 표시를 위한 장승을 세울 것을 명하였고, 이에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 2개의 장승이 세워졌다. 이후 이 지역에는 ‘장승배기’라는 지명이 붙었다는 이야기다.
한편 장승백이 설화와는 달리 영조(英祖) 연간에 만들어진 「해동지도(海東地圖)」에 ‘과천계장생현로(果川界長栍峴路)’라는 지명이 기록된 것으로 보아 '장승배기'라는 지명은 더 오랜 역사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승배기로는 길이가 1.7㎞, 폭이 20m인 왕복 4차선 도로이다.
1972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에서 한양천도 578주년 기념일을 맞아 무명의 시내 59개 가로에 대한 새 이름을 제정할 때 장승로로 명명되었다. 1984년 9월 13일 가로명 제정 때 장승배기길로 개칭되었다.
장승로의 구간은 노량진역~상도동~장승배기 간의 1.2㎞였으나 노량진역에서 노량진삼거리 구간이 노량진로에 포함되면서 950m로 단축되었다. 2011년 도로명 주소의 시행으로 도로명 체계가 바뀌면서 노량진삼거리에서 신상도초교교차로 구간이 장승배기로로 지정되었다.
장승배기로 주변에는 동작구청, 노량진역, 장승배기역, 동작도서관, 서울특별시 동작관악교육지원청, 서울노량진초등학교, 서울신상도초등학교, 장승중학교 등이 위치하고 있어 동작구 행정 및 교육의 중심지 기능을 하고 있다.